2025 최저시급이 약 1.7% 인상된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최저임금이 만원대를 넘어서게 된 첫해입니다. 이번 인상 결정에 대해 노동계는 생활 안정에 부족하다는 반응을, 경영계는 인건비 부담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이 주휴수당, 월급, 연봉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의 9,860원에서 170원 상승한 것으로, 약 1.7% 인상되었습니다. 최저임금이 처음으로 만원대를 돌파하게 되어 노동자들의 기대가 크지만, 경영계와 자영업자들은 인건비 부담이 가중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상 결정이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노동계 : 인상 폭이 부족하다
노동계는 이번 인상 폭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지 못해 저임금 노동자들의 생활안정에 부족하다는 입장입니다. 2023년 소비자물가지수가 3.6% 상승한 것에 비해 1.7% 인상률은 낮다고 지적하며, 최저시급을 12,600원 정도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노동계의 의견을 알고 싶으신가요?
경영계의 우려: 자영업자의 부담 증가
반면, 경영계는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경영난이 가중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규모 사업체에서는 이번 인상으로 인해 감당하기 힘든 비용 부담을 떠안게 될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경영계의 입장을 더 알아보세요.
주휴수당 변화: 시급 인상에 따른 변동 사항
2025 최저시급 인상에 따라 주휴수당도 변동이 생깁니다.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가 일주일간 개근 시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은 시간당 12,048원(40시간 기준 481,920원)으로 계산됩니다.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기준으로 일주일에 총 80,240원, 한 달에 320,96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이용하여 주휴수당 계산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월급과 연봉: 2025 최저시급 기준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을 기준으로 월 209시간 일할 경우 월급은 2,096,270원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2024년 월급인 2,060,740원보다 약 36,000원 상승한 수치입니다.
월급 실수령액 계산
부양가족 수 1명, 비과세액 20만원을 적용했을 때,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를 제외한 2025년 월 실수령액은 1,899,300원으로 예상됩니다.
내 월급을 자세히 확인하고 싶으면 실수령액 계산기를 사용해보세요.
연봉 계산
월급 기준으로 연봉을 계산하면 25,155,240원으로, 식비, 교통비, 상여금 등을 포함하면 약 37만원 인상된 수치입니다. 실수령액은 총 22,791,600원으로 예상됩니다.
정확하게 확인을 원하시면 연봉 계산기를 사용해보세요.
이번 2025 최저시급 인상은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해 생활비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동시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인건비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인상이 각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